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준금리 개념 및 영향, 한국은행 역할 등 실물경제에 미치는 효과? 핵심정리

by 계약 컨설턴트 2025. 2. 21.
728x90
반응형

기준금리란?

기준금리는 중앙은행(한국의 경우 한국은행)이 금융시장에 영향을 주기 위해 설정하는

대표적인 정책금리입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결정하며, 금융기관들이 서로 자금을 빌릴 때 적용하는 금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기관과 환매조건부증권(RP) 매매, 자금조정 예금 및 대출

등의 거래를 할 때 기준이 되는 정책금리로서 간단히 ‘기준금리’(base rate)라고도 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물가 동향, 국내외 경제 상황, 금융시장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 8회 기준금리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결정된 기준금리는 초단기금리인 콜금리에 즉시 영향을 미치고, 장단기 시장금리,

예금 및 대출 금리 등의 변동으로 이어져 궁극적으로는 실물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기준금리 영향
기준금리 영향

 

기준금리의 역할

  1. 경제 조절 도구
    • 경기 과열 시 기준금리 인상 → 대출 금리 상승 → 소비 및 투자 감소 → 인플레이션 억제
    • 경기 침체 시 기준금리 인하 → 대출 금리 하락 → 소비 및 투자 증가 → 경기 활성화
  2. 금융시장 안정화
    • 기준금리가 변하면 예금 및 대출 금리, 국채 금리 등 다양한 금융상품의 금리에 영향을 미쳐
    • 경제 전체의 유동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3. 물가 안정
    •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면(인플레이션) 기준금리를 올려 소비를 줄이고,
    • 반대로 물가가 너무 낮아지면(디플레이션) 기준금리를 내려 경제활동을 촉진합니다.

기준금리 변화가 미치는 영향

기준금리 인상

  • 대출 금리 상승 → 주택담보대출 부담 증가 → 부동산 시장 위축
  • 기업 대출 부담 증가 → 투자 및 고용 감소 가능성
  • 예금 금리 상승 → 저축 증가, 소비 감소

기준금리 인하

  • 대출 금리 하락 → 주택 구매 및 투자 증가 가능
  • 기업 자금 조달 용이 → 경제 성장 촉진
  • 예금 금리 하락 → 저축 감소, 소비 증가

이러한 기준금리 정책은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은행에서 관장합니다.

 

🇰🇷 한국은행 (Bank of Korea, BOK)

한국은행은 대한민국의 중앙은행으로, 금융과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폐 발행, 기준금리 결정, 물가 안정, 금융시스템 관리 등의 중요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 한국은행 기본 정보

  • 설립: 1950년 6월 12일
  •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39
  • 총재: (2024년 기준) 이창용 총재
  • 법적 근거: 한국은행법
  • 공식 홈페이지: www.bok.or.kr

🏦 한국은행의 주요 역할

1️⃣ 통화정책 운영 (기준금리 결정)

기준금리 조정 → 시중 금리 및 경제 전반에 영향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조절
경기 활성화 또는 억제

📌 예시: 금리를 올리면 대출이 줄어 소비가 감소, 금리를 내리면 대출이 늘어 소비 증가

2️⃣ 화폐 발행 및 관리

한국 원화(KRW) 발행 및 유통
위조 방지 및 화폐 신뢰성 유지
손상된 화폐 회수 및 폐기

📌 현재 유통 중인 화폐: 1천 원, 5천 원, 1만 원, 5만 원권 및 동전

3️⃣ 외환시장 안정 및 관리

외환보유액 관리 (달러, 엔화, 유로 등)
원화 환율 안정화 조치
국제 금융기구 협력 (IMF, BIS 등)

📌 예시: 원화 환율 급등락 시 시장 개입

4️⃣ 금융 시스템 안정

은행 및 금융기관 감독 (예: 금융위기 방지)
국가 부채 및 가계 부채 관리
디지털 금융·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연구

금리 추이
금리 추이

 

통화정책 효과의 파급영향
통화정책 효과의 파급영향

 

 기준금리는 현대 경제생활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